세부 목차 (Table of Contents)
제품 개요
제품명 : GaoFighGar
스케일영문 : Scale 실물을 모형으로 축소시킨 축적을 말합니다. 모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케일은 대표적으로 미터스케일과 인치스케일이 있는데, 미터스케일은 미터법을 기준으로 한 축척으로 AFV 모형의 주류인 1/35 스케일이 이에 속합니다. 이에 비해 인치 스케일은 1/12, 1/24, 1/32, 1/48, 1/72 등 분모가 4 의 배수로 되는 것이 큰 특징인데, 이것은 '1 피트 = 12 인치' 단위를 주로 사용하는 서양에서부터 발달된 스케일이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모형의 1/24, 비행기 모형의 1/32, 1/48, 1/72 스케일이 인치 스케일의 주류라 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 non scale글자 그대로 1/35, 1/24 처럼 보편화된 스케일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된 모형의 크기 표시로 주로 인형이나 영화 소품등의 제작때 많이 등장합니다. 건담계열에서는 머리가 크고 몸을 포함한 팔다리는 작게 만들어 '모여라 꿈동산' 스타일로 제작된 SD 건담이나 무사건담, BB전사 건담이 대표적인 논 스케일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키트조립을 통해서 만들 수 있는 제품중 완제품의 형태가 아닌 조립을 위한 부속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키트라고 합니다. 모형에서는 인젝션 키트, 레진 캐스트 키트, 소프트 비닐 키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학습용 전자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2석 라디오 키트, 태양열 자동차 키트 등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더 보기 사이즈 대략 22 cm 크기)
제품형태 : 가동식 레진캐스트키트참조 : 개라지 키트 (Garage Kit) 더 보기
제조사: AnimeBox 카피판 (원작 – Kaiyodo)
원형제작 : 야마구치 카츠히사
가격 : 166$+운송료16$ (Kaiyoto 제품 – 24800엔)
본 작품의 제품 리뷰는 정찬욱님께서 보내주신 것입니다.
부품 살펴 보기

가오파이가(GaoFighGar)의 당당하고 늠름한 모습
이 키트는 kaiyodo가 제창하는 신 가동시스템 ‘모노 샤프트 드라이브’ (이하MSD)’ 사양입니다.
MSD의 시스템은 단순하게 말하자면 옛날 그대로의 1축가동. 즉 관절에 막대기가 하나 통과하고 있을뿐인 스윙 가동입니다. 그러나 그 움직임의 방향은 철저히 계산되어 절묘한 밸런스가 잡혀있고 프로모션의 무너짐은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이것을 실현하는 데는 원형 제작 시에 ‘멋지다’고 생각되는 연기를 몇 종류씩이나 상정하여 그때의 각 관절의 각도를 전부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축을 설정한다는 인간의 영역을 뛰어넘는 기술이 (6ㅡ.ㅡ;)필요한 것입니다. 역으로 생각해보면 이것은 유저를 만족시킬 연기를 어느정도 상정하면 복잡한 가동기구는 필요 없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즉 MSD는 디스플레이를 전제로한 하이센스의 가동모델입니다.
(이상은 뉴타입(한국판)에서 kaiyodo의 신작키트 가오파이거 소개말이었습니다.)
레진 키트의 경우에는 복제품이라고 하더라도 복제품을 만든 회사의 기술력에 의해서 생기는 차이는 있을지라도 금형의 노후등에 따른 품질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제품 제작 과정상의 특성입니다~ㅇ)
원래는 설명서의 일부분을 보내주셨지만 쥔장 맘대로 가오파이가만 들어냈습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리뷰를 보내주신 찬욱님께 사죄를… ^^;
설명서 살펴 보기

가오파이가 키트의 부품구성
레진 키트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빽빽하게 부품이 들어있다는 증거.
레진 키트의 가장 큰 장점인 완성 모형의 느낌과 디테일이 뛰어난 반면 부품수는 적다는 통념이 완전히 무너지는 암담한 부분입니다.
캐릭터 인형의 경우는 위의 장점이 유감없이 발휘되지만 메카닉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부품도 많고 (그만큼 잔손질이 많아 진다는 것이겠죠~) 작업도 만만치 않지만 완성후의 모습을 보면 인젝션대량 생산을 위해 금형으로부터 사출 공법으로 생산되는 제품 성형 방법을 인젝션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키트를 인젝션 키트라고 말합니다.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된 키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22. 인젝션 키트의 생산 방식과 이해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보기 키트에서는 볼 수 없는 느낌과 소프트비닐키트에서는 볼 수 없는 날카로운 디테일때문에 자꾸 레진 키트로 손이 가지 않나 싶습니다.

조립에 필요한 기본 상식(?)이라고 할만한 내용들이 일본어로 빡빡하게 씌여져 있습니다.
아마도 주된 내용은 어떻게 다듬고 어떻게 접착하며 어떻게 도색하라는 등의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래쪽에서부터는 본격적인 조립에 들어가는데 부품수도 많고 가동구조를 가지는 만큼 조립도 일반 레진 키트와는 상당히 다른것 같습니다. 느낌은 디테일이 아주 좋은 인젝션대량 생산을 위해 금형으로부터 사출 공법으로 생산되는 제품 성형 방법을 인젝션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키트를 인젝션 키트라고 말합니다.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된 키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22. 인젝션 키트의 생산 방식과 이해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보기 키트를 작업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을 것 같기도 합니다.

몸통 부분과 날개 부분의 부스터 부분의 조립입니다.
레진 키트참조 : 개라지 키트 (Garage Kit) 더 보기 자체가 조립시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만큼 – 한번 잘 못 붙이면 떼어내는 것보다는 톱질로 썰어내고 다시 빈틈을 작업한 후에 접착하는 – 자잘한 글자로 조립시 주의할 내용들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 가동 구조때문에 설명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가동하지 않고 도색 작업에 방해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접착하는 것이 작업 효율을 높인다는 점에서 레진 키트는 가조립이 반드시 필요한데 설명서만을 보아도 가조립을 반드시 해 보고 나서 접착 또는 철심을 박을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메카닉 키트의 경우에는 좌우측이 거의 비슷한 부분이 많고 (특히나 관절 부위) 자칫 헷갈리게 접착할 경우 이상하게 관절이 꺽인 메카닉이 될 수 있기때문입니다.

이제 조립의 막바지에 다다른듯한 느낌
다리 부분을 조립하고 몸통을 조리한 후에 몽땅 합하면 조립은 일단 끝이 난다.

어랏~ 벌써 조립이 끝이 났다.
하지만 이 몇장 안되는 설명서를 충실히 작업하기 위해서는 기나긴 겨울밤이 결코 외롭지만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완성된 각 파트의 조립품들을 전체적으로 조립하면 된다.
설명서에는 친절하게도 각 부분을 오른팔, 왼팔 식이 아닌 설명서의 구분 기호 (여기에서는 ABCD…) 로 표시를 해 두었다.
부품을 떼어낼 때 샤프연필등으로 접착부위에 부품 번호 또는 기호를 적어두고 작업하는 것이 이렇게 부품이 많을 때에는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접착하고 나서도 연필자국이 보일 경우에는 지우개로 지워주면 될 것입니다.
하지만 굳이 안 지워도 대세에는 지장이 없을까 하는 게으른 생각도 한편으로는 드는군요~ 참… 그렇다고 사인펜으로 표시를 하지는 마십시오. 나중에 도색작업이 끝난 후에 밑에서부터 은은하게 베어나올지도 모릅니다. 서페이서를 뿌리면 별로 그럴 일은 없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