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목차 (Table of Contents)

작품 개요
작품명 : 계란비행기 P-38 Lightning (Texas Ranger)
제작자 : 권태형
제조사 : Hasegawa (하세가와)
스케일영문 : Scale 실물을 모형으로 축소시킨 축적을 말합니다. 모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케일은 대표적으로 미터스케일과 인치스케일이 있는데, 미터스케일은 미터법을 기준으로 한 축척으로 AFV 모형의 주류인 1/35 스케일이 이에 속합니다. 이에 비해 인치 스케일은 1/12, 1/24, 1/32, 1/48, 1/72 등 분모가 4 의 배수로 되는 것이 큰 특징인데, 이것은 '1 피트 = 12 인치' 단위를 주로 사용하는 서양에서부터 발달된 스케일이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모형의 1/24, 비행기 모형의 1/32, 1/48, 1/72 스케일이 인치 스케일의 주류라 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 Non Scale글자 그대로 1/35, 1/24 처럼 보편화된 스케일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된 모형의 크기 표시로 주로 인형이나 영화 소품등의 제작때 많이 등장합니다. 건담계열에서는 머리가 크고 몸을 포함한 팔다리는 작게 만들어 '모여라 꿈동산' 스타일로 제작된 SD 건담이나 무사건담, BB전사 건담이 대표적인 논 스케일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제품 형태 : 인젝션 키트대량 생산을 위해 금형으로부터 사출 공법으로 생산되는 제품 성형 방법을 인젝션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키트를 인젝션 키트라고 말합니다.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된 키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22. 인젝션 키트의 생산 방식과 이해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보기
제작 시기 : 2002년 2월
작품 소개
P-38 Lightning Texas Ranger 를 비롯한 계란비행기 시리즈는 비행기의 SD영문 : Super Deform 또는 Super Deformation 원형을 과감하게 변형시켰다는 일본식 신조어로 로보트나 인형의 신체 비례를 과장 또는 축소하여 그리거나 만든 것. 더 보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킷트는 제가 어렸을 때에도 ‘계란비행기’ 시리즈로 국내에서 카피하여 판매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세가와는 비행기로 유명한 회사인데, 계란비행기 시리즈는 단종되고 요즘은 미리 색칠까지 칠해진 ONE COIN SERIES 가 나오고 있습니다.(Mitsubish A6M5 Zero Fighter Type52 [ZEKE] (Hasegawa Non Scale)에 One Coin Series 가 있습니다)
어렸을 때 동네 공터에서 놀고 있는데 어떤 아저씨가 퇴근길에 계란비행기를 들고 가더군요.
아들을 주려고 한 것인지 아님 자신이 만들려고 한 것인지 몰라도 제 눈에는 너무 부러웠고 언젠가는 만들어 보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 소망(?)을 이제 이루었습니다.(거의 20여년 만입니다)
이 작품은 얼마 전에 중고시장에서 계란비행기를 내놓으신 분에게 구입했던 8개 중 하나입니다.
제작 과정 소개
제작과정은 계란비행기 P-38 Lightning Texas Ranger (Injection)에 있습니다만, 간단하게 말하자면 가조립만사불여튼튼이라고 양산된 제품이라 하더라도 가조립한 후 접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키트의 부품이 잘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임시로 맞대어 보거나 붙여보는 것을 가조립이라고 합니다. 가조립 과정은 말 그대로 임시로 조립해 보는 과정이기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추후 분해하는데 지장이 없다면 부분적으로 접착을 하기도 합니다. 최근에 생산되는 키트는 품질이 좋아 가조립을 해가며 부품이 제대로 맞는지 확인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오래전에 발매된 키트나, 비행기 혹은 배처럼 큰 부품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바르기 전에 가조립을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큰 부품일수록 수축 등의 이유로 부품의 변형이 많기 때문입니다. 가조립 후에 동반되는 작업은 다시 분해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분해의 편의성을 위해 인젝션 키트의 경우에는 C형 가공을 하기도 합니다. 더 보기 후 단차 수정을 합니다. 오래된 킷트라서 많은 부분이 수정되었습니다.
케노피를 마스킹영문 : Masking 에어브러시나 캔스프레이로 특정 부분만을 칠할때 도료가 그 주변가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은 도료가 묻지 않도록 무엇인가로 덮어주는 작업을 마스킹이라고 합니다. 이 마스킹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마스킹 테이프, 마스킹 졸 등이 있습니다. 마스킹 졸은 액체 상태로 바른 후에 건조하면서 반투명한 비닐과 같은 막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더 보기 하는데 저는 타미야 마스킹영문 : Masking 에어브러시나 캔스프레이로 특정 부분만을 칠할때 도료가 그 주변가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은 도료가 묻지 않도록 무엇인가로 덮어주는 작업을 마스킹이라고 합니다. 이 마스킹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마스킹 테이프, 마스킹 졸 등이 있습니다. 마스킹 졸은 액체 상태로 바른 후에 건조하면서 반투명한 비닐과 같은 막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더 보기 테이프를 얇게 잘라서 마스킹영문 : Masking 에어브러시나 캔스프레이로 특정 부분만을 칠할때 도료가 그 주변가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은 도료가 묻지 않도록 무엇인가로 덮어주는 작업을 마스킹이라고 합니다. 이 마스킹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마스킹 테이프, 마스킹 졸 등이 있습니다. 마스킹 졸은 액체 상태로 바른 후에 건조하면서 반투명한 비닐과 같은 막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더 보기 했습니다.
어떤 분은 알루미늄 테이프(주방에 붙이는 것)로 마스킹영문 : Masking 에어브러시나 캔스프레이로 특정 부분만을 칠할때 도료가 그 주변가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은 도료가 묻지 않도록 무엇인가로 덮어주는 작업을 마스킹이라고 합니다. 이 마스킹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마스킹 테이프, 마스킹 졸 등이 있습니다. 마스킹 졸은 액체 상태로 바른 후에 건조하면서 반투명한 비닐과 같은 막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더 보기 한다는데 저도 다음번에는 그렇게 시도해 봐야겠습니다.
킷트를 목욕 시킵니다. 이 때 저는 기름기까지 한번에 ‘조이’ 주방 세제를 씁니다. 제가 집에서 설겆이 하면서 사용한 결과 이게 기름기가 잘 빠집니다. 목욕시킨 킷트를 잘 말립니다.
조종석을 먼저 칠하고 조종석 데칼을 붙인 후 캐노피를 붙이고 도장합니다.
캐노피 접착 전 안쪽 부분을 깨끗이 닦아줘야 합니다. 붙인 후에는 안쪽이 더러워도 닦을 수 없잖아요.
동체 아랫부분 도색후 클리어 코팅 > 윗부분 도색 > 데칼키트에 들어 있는 숫자, 부대 마크, 국적 마크등의 각종 마크가 그려져 있는 종이를 뜻하는 것으로 전사지라고 합니다. 이 종이를 물에 담그면 마크 부분만 종이와 분리되어 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모형에 붙여주면 됩니다. 최근에는 키트에 들어있는 데칼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데칼이 별도로 발매되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드라이 데칼이라 불리는 제품도 발매되고 있는데 판박이 형태로 물이 필요없이 바로 표면에 문질러 사용하는 것도 있습니다. 더 보기 붙이기 > 클리어 코팅 > 캐노피 미스킹 떼어내기 순입니다.
작품 사진

정면입니다.
모형비행기는 위에서 찍는 것 보다는 카메라의 높이를 비행기와 같게하여 찍는것이 좋습니다.
잘 만든 비행기 모형은 이렇게 찍으면 진짜 비행기처럼 보입니다.

약간 돌려서….

앞 사진과 조명의 위치만 다르게 한 것입니다.

옆부분입니다.
사진 찍은 장소는 거실입니다.

약간 뒷 모습입니다.
배경은 집에 있는 사포를 모두 이어 붙여서 사용했습니다. 마땅한 배경이 없어서….

뒷모습이고요, 그런데 날개가 조금 기울어 졌네요? (*.*)?

조명은 바로 위에 거실 형광등이고요, 삼파장 스탠드를 오른쪽에서 비췄습니다.

디지털 카메라 접사 기능을 살리고, 자동 촛점, 플래쉬 발광 안함 상태로 촬영했습니다.
실내 촬영-플래쉬 발광 안함 상황이라면 카메라 삼각대는 거의 필수입니다.

이 사진이 괜찮군요. 계란비행기의 모습이 잘 나타납니다.

정면의 윗쪽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앞 사진에서 활주로를 미끄려져 나온듯한 느낌입니다. ^^;

위에서 본 우측면의 모습입니다.

정말 계란 같습니다.

이 사진만 보면 점보 비행기 같은 느낌이 드는군요

렌즈에 가득 찬 동체의 모습은 정말 계란입니다.

보시다시피 케노피와 동체사이에 단차가 보입니다만 계란비행기 이기 때문에 이런 결점이 가려지는 느낌이…(나만 그렇게 생각할지도….)

격납고 문이 열리는 순간의 비장함이 깃들어 있는듯 한 사진입니다.

마지막으로 촬영 내내 배경으로 사용한 사포를 붙잡고 있었던 제 여신님에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