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도료의 일반 상식

상식선에서만…

도료 자체에 관해서도 아주 전문적인 이야기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상식선에서 알 수 있는 수준까지만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도료는 어느 회사의 제품을 막론하고 크게 범주를 나누자면 광택 도료, 무광택 도료, 무색 도료, 금속색 도료, 특색 도료 정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중 가장 기본이 되는 분류인 광택 도료와 무광택 도료부터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도료에서 색이 표현되는 가장 큰 이유는 색 안료라고 하는 것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색의 원리에 대해서는 중학교 과학교과과정에서 나오는 흑체라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색 안료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 도료의 색상이 나뉘어 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도료의 일반 상식

어찌 보면 해당 색 안료가 어디에서 유래했는가의 구분(광물, 식물 등)이 있긴 하겠지만 동일한 색 안료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혼합물에 의해 성질이 바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색 안료는 말 그대로 색상을 구분할 수 있는 특성일 뿐이고 어떤 혼합물이냐에 따라서 도료 자체의 특성이 바뀐다고 보면 됩니다.

도료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하지만 이 색 안료만으로는 도료가 제대로 정착될 수 없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문에 들어가는 성분이 도료의 성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수지성 베이스가 있는데 이 수지의 성분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에나멜, 래커, 아크릴 도료로 구분되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수지성 베이스를 녹일 수 있는 용제(시너) 가 포함되어 있는데 도료를 희석한다는 의미는 이 수지성 베이스를 녹일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시너를 섞어주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용제의 성질과 수지성 베이스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는 도료가 엉켜버릴 수 도 있으므로 용제인 시너를 올바로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하지만 도료가 어떤 도료인지 (에나멜, 래커, 아크릴같은…) 안다면 거기에 맞는 시너 (에나멜 시너, 래커 시너, 아크릴시너 처럼…)를 사용하시면 되므로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만약 도료가 무광택 도료라면 위의 색 안료 + 수지성 베이스 + 시너에 무광택 첨가제 (플랫 베이스) 가 소량 첨가되어 있고 금속색이라면 색 안료 + 수지성 베이스 + 시너에 고운 금속 가루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클리어 도료라고 일컫는 무색 도료는 이 수지성 베이스와 시너만 혼합된 것으로 클리어 중에서도 유광, 반광, 무광택에 따라 플랫 베이스의 함유량이 다른 것 외에는 차이점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미지 – 도료 분류, 성분 함량 일러스트]

그리고 특색 도료라고 보통 이야기 하는 것은 어떤 특정 혼합비를 가지고 섞여진 도료를 말하는 것인데 보통 도색을 하기 위해 일일이 도료를 혼합해서 색을 만들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만 없을 뿐 일반 도료의 혼합으로 대부분 만들어 낼 수 있는 색상들입니다. 다만 이 도료의 혼합이라는 과정이 매번 반복될 때마다 약간의 색감 차이를 줄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색상을 사용하고 싶다면 특색 도료를 사용하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겁니다.

이러한 도료 외에 도료라고 분류하기는 딱히 어렵지만 도료가 아니라고 말하기도 힘든 제품들이 있는데 플라스틱에 실제 녹이 슬어 있는 것 같은 효과를 주는 것이나 군제사에서 발매하는 웨더링 세트처럼 특수한 다른 물질(탈크 가루등)이 들어 있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도료 사용의 주의점

모든 도료 사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주 충분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잘 섞어줘야 한다는 것인데 위에서 말한 색 안료 + 수지성 베이스 + 시너 + 기타 첨가제들이 시간이 오래 지나면서 서로의 비중 차이로 분리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를 잘 섞어야만 원래 설정되어 있는 색상이나 광택 또는 효과등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받게되는 질문인 무광택 도료를 칠했는데 광택이 난다라거나 에어브러시로 뿜었더니 거미줄이 발사된다는 등의 내용에 대한 답은 도료를 제대로 섞지 않았거나 시너를 이용해 알맞은 농도로 희석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들중의 하나로 충분히 섞어 주고 알맞게 희석시키면 이런 문제점들은 사라지게 됩니다.

지금까지 이야기 한 것은 도료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내용들이고 이런 내용들이 서로 교차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 구성된다고 이해하시면 한층 이해가 쉬울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럼 지금부터는 도료 각각의 특성이나 사용상의 주의점등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pread the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