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목차 (Table of Contents)

작품 개요
작품명 : MG RX-78-2 Gundam ver. 1.5
제조사 : Bandai (반다이)
스케일영문 : Scale 실물을 모형으로 축소시킨 축적을 말합니다. 모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케일은 대표적으로 미터스케일과 인치스케일이 있는데, 미터스케일은 미터법을 기준으로 한 축척으로 AFV 모형의 주류인 1/35 스케일이 이에 속합니다. 이에 비해 인치 스케일은 1/12, 1/24, 1/32, 1/48, 1/72 등 분모가 4 의 배수로 되는 것이 큰 특징인데, 이것은 '1 피트 = 12 인치' 단위를 주로 사용하는 서양에서부터 발달된 스케일이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모형의 1/24, 비행기 모형의 1/32, 1/48, 1/72 스케일이 인치 스케일의 주류라 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 1/100
제품 형태 : 인젝션 키트대량 생산을 위해 금형으로부터 사출 공법으로 생산되는 제품 성형 방법을 인젝션이라고 하는데 그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키트를 인젝션 키트라고 말합니다.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된 키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22. 인젝션 키트의 생산 방식과 이해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보기
제작자 : 방승현
제작 시기 : 2001년 3월
작품 소개
MG RX-78-2 Gundam ver. 1.5… 건담이다. 오리지널 최초의 건담. 뉴타입 인간 아무로(흠흠…. 난 에바의 신지를 보면 아무로가 생각난다….. 무신 관계냐고? 교육도 못받은 넘들이 지 수족처럼 조종해대는걸보면 비슷하지 않을까?
헐~ 머 그런점에서 난 요즘 Z.O.E를 즐겁게 즐기고 있다.
계속 관계없는 얘기만…) 이거 만들기 전에 난 마크2가 제일 멋진 건담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거만들고 맘이 바뀌었다. 역시 심플함에서 오는 멋이란…
오리지널 설정에서 여러부분이 수정되었다고 한다. 하긴 1년전쟁 건담에서보면 이렇게 멋져 보이지는 않았던걸로 기억된다. 초보자들에게 강추하고 싶은 키트다.
나도 초보다… 근데 이게 무신 작품소개인지…
제작 과정 소개
무난하고 순조롭게 작업한 키트다.
개조도 전혀 안했고(키트조립을 통해서 만들 수 있는 제품중 완제품의 형태가 아닌 조립을 위한 부속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키트라고 합니다. 모형에서는 인젝션 키트, 레진 캐스트 키트, 소프트 비닐 키트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학습용 전자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2석 라디오 키트, 태양열 자동차 키트 등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더 보기 자체가 워낙 뛰어나다) 접합선영문 : Parting Line 부품과 부품이 접착후에 생긴 연결 흔적을 접합선이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금형 사출시 금형 양쪽이 맞닿는 부분에 생기게 되는 '파팅 라인'까지도 모두 포함해서 접합선이라 합니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실물에 있는 선과 똑같이 접합선이 생기는 것이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퍼티와 사포를 이용해서 깨끗이 없애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접합선이나 파팅 라인을 없애는 작업을 접합선 수정이라 합니다. 더 보기 수정도 머리, 몸통, 밖에 안했다.
맘에 안드는 반다이 특유의 뭉툭한 뿔이 아니라서(일반적으로 반다이 키트의 뿔은 연질수지를 사용하였기때문에 날카로운 맛이 없다.) 너무나 마음에 든다.
마크2 제작시 약간의 노하우가 생겨서 맥스스타일의 도색에 많이 익숙해져서 도색시 큰 어려움은 없었다.
전체적으로 검은색에 가까운 회색으도 밑색을 칠하고 이번엔 맥스 스타일의 약간 반대스타일로 실험을 해보았는데. 꽤 괜찮은 효과가 나왔다.
어깨부분을 보면 맥스스타일의 반대로 끝부분이 하얗고 안쪽이 어두운것을 볼 수 있다.
그런대로 자연스러워 보여서 만족했다.
몸통의 파란색은 타미야 에나멜에나멜 도료는 유성(유기 솔벤트 계열) 도료의 한 종류로서 모델링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도료라 할 수 있습니다. 건조가 더딘 것이 단점이긴 하지만, 발색이 좋고 블렌딩 작업에는 최적입니다. 덕분에 붓도색용으로나 에어브러싱용으로 모두 적합한 도료입니다. 다만 피막이 다른 도료에 비해 조금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더 보기 블루를 그대로 사용했고 붉은색 부분은 군제 플랫레드를 그대로 사용했다.
발부분과 허리부분이 달라보이는것은 밑색의 효과이다. (발은 화이트 서페이서모형을 만들다 보면 색칠전에 눈에 보이지 않던 작은 흠집들이 색칠을 하고나서야 비로소 눈에 띄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작은 흠집을 메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서페이서 입니다. 즉, 조립후 서페이서를 바르고 고운 샌드페이퍼로 갈아내면 모형에 있는 작은 흠집들을 없앨수 있습니다. 또한 옅은 회색인 경우가 많아 밑도장의 효과도 얻을수 있습니다. 보통 캔스프레이식을 쓰게 되지만, 붓으로 바르도록 병에 든 것도 있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퍼티를 래커 시너에 녹인 '액체 퍼티'도 서페이서로서 매우 유용합니다. 더 보기 위에 그대로 입혀서 래커영문 : Lacquer 에나멜, 아크릴 도료등과 함께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형용 도료. 여기서 래커((오랜 습관으로 래커, 락커 등으로 표기했었는데 발음의 애매함이 있어 영문 사전을 뒤져봤더니 국문 표기로 '래커'라고 적혀 있군요. 오랜 습관이었던지라 많은 콘텐츠들에 래커로 표기되어 있을텐데 발견할 때마다 수정하겠습니다.)), 에나멜등은 상표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도료의 화학적 성질을 뜻하는 말입니다. 본래 래커는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소 도료를 일컫는 말이지만, 모형용 래커는 공업용과는 관계없는 합성 수지 도료를 지칭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건조가 대단히 빠르고 피막이 단단한 것이 특징이지만 냄새가 고약합니다. 더 보기 그대로의 색이며 허리는 검은색에 가까운 회색 바탕에 뿌려서 좀 어두운 느낌이다.)
흘~ 실수로 허벅지를 접착해 버려서 허벅지부분의 껍데기는 분해 되지 않는다.
작품 사진

전체적으로 찍었다. 윗부분이 약간 잘리긴 하였지만 정말 훌륭한 프로모션이다.

포즈가 어정쩡한 우측면 사진이다. 구부정 해보인다. 쩝~

후면 사진이다.
백팩을 건메탈로 드라이브러싱 해줬는데 별로 효과가 살지 않아 보인다.
쉴드의 몰드와 패널라인이 예술이다.

좌측면사진인데 쉴드밖에 안보인다.
연방군의 십자마크가 무쟈게 튄다.

제일 맘에 드는 컷.
정말 보면볼수록 훌륭한 프로모션이다.
콕핏의 개폐부가 가동시에 자꾸 도색한 부분이 벗겨져서 건메탈로 두껍게 드라이브러싱 해버렸다.
마음대로 열고 닫다보니까 도색이 벗겨저서 건다리움 색이 그대로 드러났다는 설정 해버렸다. (근데 건다리움이 저색 맞나~? 아니면 어쩌지….)

엄청난 가동범위를 위해 따로따로 좍좍 떨어져 있는 스커트부이다.
옛날 건담 키트들은 이 스커트 때문에 다리가 15도 이상은 올라가지 않았던기억이 난다.

다리
맥스 스타일 도장이 자알 살아 있는 사진이다. 어설픈가?

사진에선 잘 보이지 않지만 두부의 뿔이 정말 얇고 날카롭다 정말 맘에든다.
이 키트는 100점만점에 100점 다 주고 싶은 키트이다.

마크2의 백 팩
노즐이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손들어!!!
당장이라도 라이플에서 빔이 뿜어져나올 기세.
조준경인지 라이트인지 암튼 노란색이 튄다. 노란색….. 레X나(비타민 약)가 생각난다.

손들어~ 자세를 옆에서 잡아보았다.

남들 다하는 무릎쏴 자세를 할까 하다가 이것도 괜찮겠다 싶어서 휴지위에 걸터 앉은 포즈를 취해 봤다.
사실 집에서 컴터 모니터 위에 이렇게 앉혀 놓았다.
처음엔 저렇게 안정적으로 앉혀 놓을수 있다는게 정말 신기하기만 했었다.

좀더 꽉차게 잡아보았다. 무릎의 이중관절이 돋보인다.
내부 프레임을 플랫 블랙에 플랫화이트를 약간 석어서 뿌린후에 건메탈로 드라이브러싱 해주었는데 느낌이 꽤 괜찮다.